본문 바로가기

2028년 입시 대비 고등학교 1학년 준비해야 할것

bori18 2025. 4. 21.

대입을 위해 고등학생이 준비해야 할 핵심 역량은 단순히 내신 성적만이 아니라, 종합적인 학업 역량과 자기 주도성, 비교과 활동의 질과 일관성까지 포함됩니다. 특히 최근 대입의 방향은 "정성적 평가 강화"와 "학생부 중심 평가"로 흐르고 있기 때문에, 단순 내신대비와 함께 여러 가지 함량을 길러야 합니다.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이 대입을 위해 필요한 역량


1. 학업 역량 (Academic Competency)

  • 내신 성적: 여전히 가장 중요한 평가 요소. 전 과목 성적 관리가 필요하나 특히 전공 관련 과목에 집중.
  • 학업 태도: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탐구활동과 과제 수행에서 성실성을 보여야 함.
  • 심화 학습: 독서, 탐구보고서, 학업 관련 발표, 에세이 등 ‘깊이 있는 학습 경험’이 중요.

2. 전공적합성 (Suitability for Major)

  • 관련 과목 선택과 성취도: 예를 들어, 공대 희망자는 수학/과학을 꾸준히 이수하고 잘해야 함.
  • 전공 관련 독서 및 활동: 전공 관련 도서를 읽고 독서활동 기록에 남기기, 관련 비교과 활동 참여.

3. 자기 주도성 및 탐구 역량

  • 자율동아리/탐구활동: 본인이 주도하여 기획하거나 운영하는 활동이 유리.
  • 연구보고서/프로젝트: 과목 내 또는 창체 시간에 진행하는 프로젝트형 과제를 적극 수행.

4. 공동체 의식과 인성

  • 봉사활동의 질과 의미: 단순 시간 채우기보다는 꾸준히, 목적의식 있는 봉사.
  • 협업능력: 토론, 모둠활동, 리더 경험 등이 이 항목에 포함됨.

5. 의사소통 및 표현 능력

  • 세특 기록에서 드러나는 표현: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정리하고 글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
  • 면접 대응력: 후반부 면접형 전형을 대비하여 논리적 말하기 연습도 필요.

6. 기록 관리와 스토리라인 구성

  • 학생부 기록의 일관성: 모든 활동이 하나의 전공 또는 관심사 중심으로 연결되도록 구성.
  • 자기소개서(폐지 추세지만 중요도 있음): 활동을 해석하고 정리하는 힘이 중요함.

"1학년은 '탐색기"입니다.

다양한 활동에 참여해 보고, 흥미 있는 분야를 탐색하면서 기록을 쌓는 게 중요해요.

  • 학교 활동은 기록으로 남는가?를 항상 고려하세요.
  • 선생님과의 소통도 중요합니다. 교과 세특은 선생님의 기록이기 때문입니다.
  • 독서는 단순히 책 수보다 내용의 깊이와 관련성이 중요합니다. 독서 후 메모 남기기 습관 들이세요.
  • 진로를 너무 일찍 확정할 필요는 없지만, 한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스토리는 중요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